"플러스 알파"를 획득하라!!
좋은 내용들 많이 써주셨기에 저는 "플러스 알파"를 얻는 요령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1.각주를 사용하라! (독창성)
소논문에 가까운 리포트 일 수도 있고, 원페이지 리포트 일 수도 있습니다. ''논문에만 각주 사용하는 거 아니야? 학부생이 무슨?' 하지 마시고, 사용하십시오.
교수님들은 '각주'사용을 일반적으로 무척 긍정적으로 생각하십니다. 교수님들은 기본적으로 지식생산자(?)를 지향하십니다. (뭐 물론 지식중개인 역할로 그치시는 분도 많습니다만, 지식도매상(?) 정도?) 따라서, 타인의 지식을 자신의 것인양 그냥 가져다 놓는 것 보다, 출처를 명확히 밝히게 되면 같이 '무단도용' 당하는 사람 입장(?)--동병상련--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시게 됩니다. 또한, 각주를 사용하게 되면 같은 글이라도 '전문성'이 훨씬 있어 보입니다. 저도 오랜기간 보고서를 써왔고, 후배들 리포트도 많이 보았습니다만, 각주를 활용하는 사람은 스물에 하나도 찾기가 어렵습니다. 당연히 각주를 활용한 글은 그 '희소성'에서도 플러스 요인입니다.
(이왕이면 각주의 형식을 제대로 지켜쓰면 좋겠지만, 형식은 조금 틀리더라도 일단 각주가 달리면 훨씬 플러스입니다!! 많으면 많을 수록 좋습니다! "와~ 많이 찾아보았구나" 하기 마련입니다. 그리고 각주 사용하는 것이 어렵지도 않습니다. 워드 프로그램의 발전으로..)
2. 보는 사람을 배려하라! - 인쇄, 제출 전에 한번만 더 보자! - (역지사지)
기본적인 것이지만 의외로 잘 안되는 부분입니다. '보기 좋은 떡이 맛도 좋다'는 말이 있습니다. 보고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문단간 적절한 공간을 주고, 들여쓰고, 내어쓰는 것을 통일하고, 페이지 번호를 잊지말고 넣고, 소제목은 굵은 글씨나 큰 글씨로 구분해 주고, 등등 아주 기본적인 것이지만, 지켜지지 않는 것이 많습니다. 글의 내용이 아무리 좋아도, 여백하나없이 빼곡히 들어찬 작은 글씨로 된 리포트라면 좋은 평가를 받기 어려운 게 인지상정입니다. 그리고 혹시 통신상에서나 쓰던 어법을 쓰지는 않았는지, 이모티콘이 들어가지 않았는지 살펴 보십시오. 보고서에도 "예절"이 있습니다!
제출 전에, 혹은 인쇄전에 "딱 한번만" 더 보십시오. 그리고 내가 이렇게 리포트를 받으면 어떤 기분일지 한번 생각해보세요. 자기도 만족 못하는 리포트, 남을 만족시킬 수 없습니다.
3. 화려함보다는 통일성으로 승부하라 - 과대 포장은 실망만 불러온다!
앞의 요령의 연장선상에 놓이게 되겠습니다. 표지가 이쁘게, 글씨체를 알록달록 화려하게... 점수를 깍아먹는 제일 좋은 방법입니다. 과대포장은 실망만 불러온다! 포장은 화려한데, 내용이 없으면 보는 사람은 더욱 실망하기 마련입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든다면,
3-1 글씨체는 1가지에서 최대 3가지 정도만 사용하십시오.
너무 다양한 글씨체는 통일성만 해칠 뿐, 보는 사람 피곤합니다.
3-2 화려한 디자인 서체는 피하십시오.
광고용 글. 아니지요? 필기체를 비롯한 동글동글하거나 화려한 글씨체는 리포트의 품격을 떨어뜨립니다. 리포트에서 낙서로. 이쁜 글씨체 많은 것 다들 압니다. 글씨체 감상은 리포트를 받는 목적이 아닙니다. 기본서체로 충분합니다. 다만 제목이나 인용구 등 구분을 하는 것이 보는 사람이 더 펴하겠다 싶으시면 적절한 서체를 활용하십시오.
3-3 칼라는 적절히. 2~3가지 색상만.
마찬가지로 너무 다양한 칼라는 눈만 피곤하게 하고, 리포트의 품질을 오히려 떨어뜨립니다. 낙서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볼펜색이 무엇입니까? 네. 검정생과 파란색 그리고, 빨간색입니다. 리포트의 경우에는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빨간색을 피하시고(빨간색은 자극적이고, 평가자가 사용해야 될 것 같지 않으십니까?) 검정색과 파란색만 적절히 사용하시면 됩니다.
3-4 표와 그림으로 정리, 요약.
표와 그림을 잘 사용하는 것은 똑똑한 사람임을 보여주는 것 입니다. 어디서 가져와서 쓰라는 얘기가 아닙니다. 자기가 이미 기술한 내용을 정리하는 몇 행 몇 열의 메트릭스 형 표도 좋고, 심플한 그림도 좋습니다. 보는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심플하게 해주는 표와 그림을 사용하라는 것 입니다. 물론 가능하면 표도 통일성 있게 사용하십시오.
4. 기타 tip
4-1 한글은 한글 글꼴로, 영문과 숫자는 영어 글꼴로
예를 들어 한글과 영어를 섞어서 본문을 작성하였다면, 기본적으로 바탕체 같은 한글 글꼴로 적용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Arial같은 영어 글씨체로 한번 더 적용해 주면 훨씬 깔끔합니다. 단, 영어체의 경우 한글체에 비해 그 크기가 작은 경우가 있으므로 크기를 적절히 조절해 주십시오.
4-2 '머릿글'을 이용하라.
머릿글 부분에 제목이나 제출자 이름, 날짜 등을 적어두면 모든 페이지에 적용이 됩니다. 우측상단 혹은 좌측 상단의 머릿글 부분만 잘 사용해도 훨씬 고급스러운 보고서가 됩니다.
4-3 '맞춤법 검사'를 활용하라
워드 프로그램이 발전해서 왠만큼은 맞춤법 검사를 자동으로 해줍니다. 물론 프로그램이 오히려 틀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줄이 쳐져서 뭔가 이상한 부분이라고 프로그램이 지적하는 부분들은 한번 유심히 보십시오. 잘못 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맟춤법 검사 및 자동 추천 시스템만 잘 사용해도 잘못된 맞춤법을 많이 고칠 수 있습니다.
4-4 긴 문장은 피곤하다.
자기가 적어 놓고도 이해하기가 곤란한 긴 문장을 사용하는 경우를 종종 봅니다. 가능하면 몇 줄이 넘어가는 긴 문장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문장을 짧고 간략하게 쓰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적어도 쉼표 등을 활용하여 오해받지 않을(?) 문장으로 만드십시오. 길게 쓴다고 유식해 보이는 것이 아닙니다. 끊을 곳은 끊고,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진정한 '지식인'입니다.
-출처 지식인
'경제와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몰,일출 시각 계산 (0) | 2013.12.24 |
---|---|
자연에대한 노자와 장자의 차이 (0) | 2013.12.24 |
세계 10대 식품 (0) | 2013.12.22 |
탈수현상 예방밥법 (0) | 2013.12.22 |
에센셜오일 (0) | 2013.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