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0

이육사 - 강 건너간 노래 - 江 건너간 노래 섣달에도 보름께 달 밝은밤 앞 내ㅅ강(江) 쨍쨍 얼어 조이던 밤에 내가 부르던 노래는 강(江)건너 갔소 강(江)건너 하늘끝에 사막(沙漠)도 다은곳 내 노래는 제비같이 날러서 갔소 못잊을 계집애나 집조차 없다기 가기는 갔지만 어린날개 지치면 그만 어느 모래ㅅ불에 떨어져 타 죽겠소. 사막(沙漠)은 끝없이 푸른 하늘이 덮여 눈물먹은 별들이 조상오는 밤 밤은 옛ㅅ일을 무지개보다 곱게 짜내나니 한가락 여기두고 또 한가락 어데멘가 내가 부른 노래는 그 밤에 강(江)건너 갔소. 2013. 12. 27.
이육사 - 해조사 - 海潮詞(해조사) 동방(洞房)을 찾아드는 신부(新婦)의 발자취같이 조심스리 걸어오는 고이한 소리! 해조(海潮)의 소리는 네모진 내 들창을 열다. 이 밤에 나를 부르는 이 없으련만? 남생이 등같이 외로운 이 서-ㅁ 밤을 싸고 오는 소리! 고이한 침략자(侵略者)여! 내 보고(寶庫)를, 문을 흔드는 건 그 누군고? 영주(領主)인 나의 한 마디 허락도 없이, 평원(平原)을 달리는 말굽 소리보다 한층 요란한 소리! 고이한 약탈자(略奪者)여! 내 정열(情熱)밖에 너들에 뺏길 게 무엇이료. 가난한 귀향살이 손님은 파리하다. 올 때는 왜 그리 호기롭게 몰려 와서 너들의 숨결이 밀수자(密輸者)같이 헐데느냐 오- 그것은 나에게 호소(呼訴)하는 말 못할 울분(鬱憤)인가? 내 고성(古城)엔 밤이 무겁게 깊어가는데. 쇠줄에 끌려.. 2013. 12. 27.
이육사 - 실제 - 失題 하늘이 높기도 하다 고무 풍선 같은 첫겨울 달을 누구의 입김으로 불어 올렸는지? 그도 반넘어 서쪽에 기울어졌다 행랑 뒤골목 호젓한 상술집엔 팔려 온 냉해지(冷害地) 처녀(處女)를 둘러싸고 대학생(大學生)의 지질숙한 눈초리가 사상선도(思想善導)의 염탐꾼 밑에 떨고 있다 『라듸오』의 수양강화(修養講話)가 끝이 났는지? 마-장 구락부(俱樂部) 문(門)간은 하품을 치고 『빌딍』 돌담에 꿈을 그리는 거지새끼만 이 도시(都市)의 양심(良心)을 지키나 보다 바람은 밤을 집어삼키고 아득한 까스 속을 흘러서 가니 거리의 주인공(主人公)인 해태의 눈깔은 언제나 말갛게 푸르러 오노 (十二月初夜) (十二月初夜) 2013. 12. 26.
이육사 - 한개의 별을 노래하자 - 한개의 별을 노래하자 한개의 별을 노래하자 꼭 한 개의 별을 십이성좌(十二星座) 그 숱한 별을 어찌나 노래하겠니 꼭 한 개의 별! 아침 날 때 보고 저녁 들 때도 보는 별 우리들과 아-주 친(親)하고 그 중 빛나는 별을 노래하자 아름다운 미래(未來)를 꾸며 볼 동방(東方)의 큰 별을 가지자 한 개의 별을 가지는 건 한 개의 지구(地球)를 갖는 것 아롱진 설움밖에 잃을 것도 없는 낡은 이 땅에서 한 개의 새로운 지구(地球)를 차지할 오는 날의 기쁜 노래를 목안에 핏대를 올려가며 마음껏 불러 보자 처녀의 눈동자를 느끼며 돌아가는 군수야업(軍需夜業)의 젊은 동무들 푸른 샘을 그리는 고달픈 사막(沙漠)의 행상대(行商隊)도 마음을 축여라 화전(火田)에 돌을 줍는 백성(百姓)들도 옥야천리(沃野里)를 차지하자 다 같.. 2013. 12. 26.
이육사 - 황혼 - 황혼(黃昏) 내 골ㅅ방의 커-텐을 걷고 정성된 마음으로 황혼(黃昏)을 맞아드리노니 바다의 흰 갈메기들 같이도 인간(人間)은 얼마나 외로운것이냐 황혼(黃昏)아 네 부드러운 손을 힘껏 내밀라 내 뜨거운 입술을 맘대로 맞추어보련다 그리고 네 품안에 안긴 모든것에 나의 입술을 보내게 해다오 저-십이(十二) 성좌(星座)의 반짝이는 별들에게도 종(鍾)ㅅ소리 저문 삼림(森林) 속 그윽한 수녀(修女)들에게도 쎄멘트 장판우 그 많은 수인(囚人)들에게도 의지할 가지없는 그들의 심장(心臟)이 얼마나 떨고 있는가 『고비』사막(沙漠)을 걸어가는 낙타(駱駝)탄 행상대(行商隊)에게나 『아프리카』 녹음(綠陰)속 활 쏘는 토인(土人)들에게라도, 황혼(黃昏)아 네 부드러운 품안에 안기는 동안이라도 지구(地球)의 반(半)쪽만을 나의 타는.. 2013. 12. 26.
마그마 분류 1. 초고철질 마그마 - 초염기성 마그마라고도 불립니다. - SIO₂함량비가 45% 이하인 마그마입니다. - 점성이 매우 낮으며 유동성이 매우 높습니다. - 화산암과 반심성암은 산출되지 않는경우가 대다수입니다. - 심성암으로만 산출되며, '감람암' 과 '더나이트'가 산출됩니다. - 감람암내에서도 더나이트, 페리도타이트로 감람석과 휘석의 구성비율로 세분됩니다. - 유색광물의 함량이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 색지수가 매우 높습니다. (즉, 색깔이 매우 어둡습니다.) - 조립질의 암석이 산출됩니다. (구성 입자의 크기가 큽니다.) - 감람석, 휘석, 자철석, 크롬철석 등의 광물로 주로 구성되있습니다. - 상부맨틀에서 주로 생성됩니다. 2. 고철질 마그마 - 염기성 마그마라고도 불립니다. - 현무암질 마그마라고.. 2013. 12. 25.
하루가 24시간인 이유 하루가 24시간 즉, 하루를 24 등분 한 이유는 오랜 관습이라 정확한 이유를 알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가설이 있습니다. 1. 수메르인의 손가락 셈법 흔히, 사람들은 10진법을 많이 쓰는데, 그 이유는 사람의 손가락 갯수가 10개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약 4000년 전에 수메르인들은 손가락의 마디를 세어 더 많은 셈을 할 수 있었습니다. 보통의 인간이라면 손가락 마디는 손가락마다 3개씩 있죠. 한 손의 손가락은 5개이므로 15개의 숫자를 셀 수 있지만, 엄지를 세는 손가락으로 이용한다면, 엄지를 뺀 나머지 손가락마디는 12개가 있습니다. 엄지로 각 손가락 마디를 세어보시면 한 손당 12개의 숫자를 셀 수 있습니다. 이런 셈법으로 하루는 12*2 =24 시간이 되었다는 설.. 2013. 12. 25.
기상요소,기후요소 기상(meteorological phenomena)은 비, 눈, 안개, 황사, 무지개, 오로라 등등 대기중에 나타나는 제반 현상을 말하고, 기후(climate)은 장기간(기상청, WMO와 같은 기상관련기관에서 30년 평균을 이용하지만, 사실상 그 기준은 애매하다)의 평균된 기상 상태를 의미한다. 기상이 좀 더 넓은 개념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보통 기상은 수일 이내로 변하는 날씨(weather)와 관계 있기 때문에 날씨를 의미하는 말로 많이 쓰인다. 즉, 원래 기상의 개념은 대기에 나타나는 모든 현상을 포함하지만,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날씨이거나 날씨와 관계된 대기의 상태를 의미한다. 그럼, 그런 기상을 어떻게 표현을 해야 하는데, 그 표현하는 개념이 기상요소(meteorological element.. 2013. 12. 25.
일몰,일출 시각 계산 구면좌표계에서 유도된 일출과 일몰 시각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cos(w) = - tan(delta) * tan(theta) w = 일출 또는 일몰의 시간각(hour angle) delta = 태양의 적위(하지=23.5, 동지=-23.5, 춘분 또는 추분 = 0) theta = 관찰자가 있는 위도 시간각은 하루를 각으로 표현한 개념이다. 만약 일출 또는 일몰의 시간각이 - 90도 또는 +90도 이면, 일출의 시각은 오전 6시, 일몰의 시각은 오후 6시가 된다. 또한, cos(w)=cos(-w)이므로 시간각(w)는 항상 2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cos값이 0.5가 되는 각도는 cos(60도) = cos(-60도) = 0.5, 이렇게 두 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겨울철(동지)에 서울(위도=37.5).. 2013. 1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