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상식

하루가 24시간인 이유

by 바다가 보이는 곳에서 2013. 12. 25.

하루가 24시간 즉, 하루를 24 등분 한 이유는 오랜 관습이라 정확한 이유를 알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가설이 있습니다.

 

 

1. 수메르인의 손가락 셈법

흔히, 사람들은 10진법을 많이 쓰는데, 그 이유는 사람의 손가락 갯수가 10개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약 4000년 전에 수메르인들은 손가락의 마디를 세어 더 많은 셈을 할 수 있었습니다. 보통의 인간이라면 손가락 마디는 손가락마다 3개씩 있죠. 한 손의 손가락은 5개이므로 15개의 숫자를 셀 수 있지만, 엄지를 세는 손가락으로 이용한다면, 엄지를 뺀 나머지 손가락마디는 12개가 있습니다. 엄지로 각 손가락 마디를 세어보시면 한 손당 12개의 숫자를 셀 수 있습니다. 이런 셈법으로 하루는 12*2 =24 시간이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손가락 셈법은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눈 기원이라기 보다 12진법의 기원이이라는 것이 더 적절해 보입니다.

 

 

2. 이집트인의 데칸별(decan stars)

이집트인들은 낮과 밤을 각각 12시간으로 나누었는데, 그 배경 중 하나는 데칸별입니다. 데칸별이란 밤동안(특히 여름밤) 밤의 깊이를 헤아리기 위해 이용하는 별들을 의미하는데, 하루밤동안 12개의 데칸별이 떴었고, 각각의 별들은 한시간을 의미하였습니다. 즉, 이집트인들은 데칸별이 뜨는 것을 보고 밤동안 시간이 지나가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계절마다 낮과 밤의 길이가 다르므로 고대 그리스인들은 위 개념을 바탕으로 하루를 24등분한 24시간제를 이용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이집트인들은 왜 낮과 밤을 각각 12시간으로 나누었을까요? 이는 수메르인의 12진법의 영향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바빌로니아인의 60진법과 약수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은 10진법을 쓰지 않고 60진법을 많이 썼는데, 그 이유는 60이라는 숫자가 나누어지는 수 즉, 약수가 많기 때문입니다. 10진법의 약점중 하나는 약수가 2와 5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세 친구가 돈을 걷어 맛있는 음식을 사먹은 다음 1000원이 남는다면, 이를 어떻게 배분해야할 지 난감하겠죠. 60진법은 약수가 많은 수라 나눔에 있어서는 효율적입니다. 60진법의 영향으로 현재 1시간은 60분이 되었고, 1분은 60초가 되었습니다. 1분은 한시간의 60분의 1인데 원래 분은 첫 번째 세세한 부분(영어로 the first minute part)이었습니다. 마찬가지로 1초는 두 번째 세세한 부분(the second minute part)이었습니다. 여기서 분은 minute가 되었고, 초는 second가 된 것입니다. 약수가 많은 60진법을 사용하는 것은 좋지만, 60진법의 약점은 계산하기가 매우 어렵고 일상생활에 이용하기는 너무 세분화되었다는 것입니다. "3시간 뒤에 그 식당에서 보자." 이렇게 하지 않고, "22시간 뒤에 그 식당에서 보자" 이런 표현을 쓴다면 기계식 시계가 없었던 고대에는 난감했을 것입니다. 물론, 고대에 이런 방식의 약속을 하지 않았겠지만, 너무 세분화된 시간은 효율적이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래서 시간을 나누는데는 여전히 약수의 갯수가 비교적 많은 12진법을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12는 2, 3, 4, 6으로 나누어 떨어집니다. 이런 12진법의 영향으로 하루의 낮과 밤이 각각 12시간으로 나누어지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4. 동양의 12간지

이집트인들의 24시간제가 전세계적으로 많이 쓰이는 데에는 동양의 12간지의 영향도 있습니다. 동양의 시간은 하루를 12등분하였습니다. 한밤중 즉, 자정 근처를 자시(子時)로 하여 축시, 인시, 묘시, 진시, 사시, 오시, 미시, 신시, 유시, 술시, 해시는 동양의 전통적인 시간제였습니다. 물론, 12간지도 12진법입니다.

 

 

결론은 고대사회에서 쓰이던 약수가 비교적 많은 12진법의 영향으로 밤과 낮이 각각 12시간으로 나누어져 현재 24시간제의 근간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많은 문명사회는 서로 교류를 해왔기 때문에 특정 문명사회가 24시간제를 만들었다기 보다 서로가 그 편의성을 받아들이고 널리 이용하였기 때문에, 현재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누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해 보입니다.

'경제와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육사 - 황혼 -  (0) 2013.12.26
마그마 분류  (0) 2013.12.25
기상요소,기후요소  (0) 2013.12.25
일몰,일출 시각 계산  (0) 2013.12.24
자연에대한 노자와 장자의 차이  (0) 2013.12.24